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5

편의점에서도 살 수 있는 재패니즈 위스키: 산토리 가쿠빈 지난번 메이커스 마크에 이어 두 번째 편의점 추천 술인 산토리 가쿠빈입니다. 보통 하이볼로 많이 드시곤 하는데요. 저도 하이볼을 만들어 먹을까 생각하다가 지금은 그냥 니트로 마시고 있어요. 원래는 산토리 올드 위스키를 사려고 했는데 품절되었길래 마침 편의점에서 싸게 팔고 있는 가쿠빈을 사게 되었어요. 처음 친구 따라서 먹었던 재패니즈 위스키인 야마자키가 너무 매력적이어서 그 맛을 기대했지만.. 그래도 가격대비 전 굉장히 만족스러웠습니다! 바로 리뷰하겠습니다!! 산토리 가쿠빈의 특징산토리 가쿠빈에서 가쿠빈은 일본어로 '각진 병'이라는 의미인데요. 저 병만 보면 잘 모르겠지만 뭐 역사적으로 유래가 있나 봐요^^. 또한 산토리 가쿠빈은 재패니즈 위스키 중 대표적인 블렌디드 위스키 중 하나입니다. 한때 위스키 .. 2025. 3. 18.
편의점에서도 살 수 있는 가성비 버번 위스키: 메이커스 마크 오늘은 위스키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메이커스 마크 리뷰를 해보려 해요. 메이커스 마크는 다른 버번위스키인 버팔로 트레이스, 와일드 터키와 같이 버번위스키 3 대장을 차지하고 있을 만큼 대중적이고 유명한 위스키인데요. 저도 이미 한 병은 다 까서 먹고 지금 마시고 있는 게 두 병째인데요.. 이것도 지금 다 먹어가서 아무래도 하나 더 쟁여놔야 될 거 같아요. 어째 거나 바로 시작해 볼게요!술이 바닥나있는 모습입니다. 안타깝네요 ㅠㅠ먼저 간단하게 메이커스 마크에 대한 소개를 해볼게요.메이커스 마크의 특징먼저 메이커스 마크는 옥수수를 주로 이용해 만드는 버번위스키인데요. 또한 메이커스 마크의 상징인 저 녹아내린 것 같은 뚜껑 부분이 예뻐서 외관상으로도 눈에 확 띄는 위스키였어요. 참고로.. 2025. 3. 15.
미키 17(정보/리뷰/후기/쿠키) 최근 개봉된 봉준호 감독의 영화인 '미키 17'을 드디어 보고 왔습니다!!👏👏👏오늘은 영화에 대해 스포가 되지 않는 선에서 말씀드리려 해요.  영화 정보제목: 미키 17감독: 봉준호 주연: 로버트 패틴슨, 스티븐 연, 나오미 애키, 토니 콜렛, 마크 러팔로개봉: 2025년 2월 28일러닝 타임: 137분미키 17은 이제는 전 세계적인 영화감독인 봉준호 감독이 디렉트를 맡았고, 우리에게 트와일라잇 시리즈로 잘 알려진 로버트 패틴슨 배우가 주연으로 나와서 도저히 안 보고는 못 버티겠더라고요.. 그래서 개봉일은 아니지만 최대한 빠르게 보고 왔습니다!이 영화는 에드워드 애슈턴의 '미키 7(Mickey7)'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인데요.저는 이 영화로 원작 소설을 알게 되었지만 아시는 분들도 많을 거라 생.. 2025. 3. 2.
SOP, CORS, JSONP: 웹 보안과 데이터 요청의 기본 개념 1. SOP (Same-Origin Policy, 동일 출처 정책)1.1. SOP란?SOP는 한 출처(origin)에서 로드된 페이지의 스크립트가 다른 출처의 리소스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정책이에요. 이 정책은 웹 보안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악의적인 사이트가 사용자의 데이터를 무단으로 가져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해주죠.1.2. SOP의 원칙웹에서 한 출처(origin)는 프로토콜(Protocol, Scheme), 호스트(Host, 또는 도메인(Domain)), 포트(Port)의 조합으로 정의되는데요.https://example.com:1000/page.html이라는 URL에서 프로토콜은 https를, 호스트는 example.com, 포트는 1000을 의미하고, 이 세 가지가 모두 동일할 때, .. 2025. 2. 18.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벌써 컴퓨터 과학 기초의 마지막이고 다음부터는 웹 해킹을 공부하려 해요!그리고 하면서 컴퓨터 과학 관련 내용들이 나오면 추가적으로 또 올리겠습니다!!  1.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우리가 컴퓨터로 문서 작업을 할 때, 보통 한글이나 엑셀 등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죠. 예를 들어 한글을 실행하려고 더블클릭하는 경우, 바로 열리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 과정 내부에서 여러 작업이 이뤄져요. 먼저 사용자가  한글을 실행하겠다는 의미로 더블클릭을 하면, 그 행위(명령)는 운영체제로 전달돼요. 또 운영체제에서는 실행을 위한 작업을 함으로써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그 결과로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즉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사용자/응용 프로그램의 중개자 역.. 2025. 2. 10.
인코딩과 디코딩 지난번 바이트 오더링에 이어이번에는 인코딩과 디코딩과 관련해서 알아보겠습니다!1. 인코딩(Encoding)과 디코딩(Decoding)이란?인코딩(Encoding) 은 정보를 특정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반대로, 디코딩(Decoding) 은 인코딩된 정보를 원래 상태로 복원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인코딩/디코딩과 암호화/복호화는 조금 다른 개념인데요. 아래 표를 통해 차이를 간단히 보시죠.구분인코딩/디코딩암호화/복호화과정데이터 변환목적호환성, 전송, 저장 등기밀성 보장, 보안 등가시성변환된 데이터를 표준화 방식으로 쉽게 읽을 수 있음비밀키가 없으면 정상적으로 해석(복호화)이 불가능예시UTF-8, Base64, URL Encoding 등AES, RSA, HTTPS 등즉, .. 2025. 2. 9.
반응형